국제경제학 이슈
-
전통적 무역 이론
-
비교우위론을 바탕으로 한 리카르도 모형 - 하나의 생산요소를 가정
각 부문별 노동생산성의 차이에서 비롯된 비교우위 때문에 무역이 발생함을 설명
-
신고전학파 헥셔-올린 모형 - 적어도 생산요소는 두개 이상임을 가정
두 국가 모두 부문별 생산요소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. 무역은 생산요소 부존량의 차이에 기인한 생산요소와 생산물의 가격 차이 때문으로 설명
-
신고전학파 특수생산요소 모형 - 부문 간 이동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생산요소 존재
-
무역이익
-
무역은 소득 분배에 영향을 미침. 요소소득 균등화 이론
-
-
무역정책
- 관세
- 대국의 경우, 관세는 교역조건을 개선하게 된다. 따라서,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는 이익을 얻게된다. 그러나 외국이 이에 대응하는 경우, 그 결과는 두 국가의 대응에 따라 달라진다.
- 소국의 경우, 관세가 교역조건 개선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자유무역이 최선이다.
- 수입 쿼터
- 자발적 수출 제한
- 덤핑과 반덤핑
- 보조금
- 연구개발 보조금, 환경 및 안전 규약
- 관세
- 무역 분쟁
- WTO
- 미국 중국 간의 무역분쟁
- 전통적 무역이론의 한계
- 완전경쟁과 규모에 따른 수확불변의 가정
- 생산자 사이의 전략적 요소를 배제함
- 동일한 상품이나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하는 산업 내 무역을 설명하지 못함
-
신무역이론
- 불완전경쟁 시장과 규모에 따른 수확체증을 가정
- 외국의 독점기업이 자국으로 수출하는 경우, 최적의 수입 정책으로 수입 보조금을 고려해 볼만 함
- 전략적 무역 모형
- 시장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개별기업의 시장지배력을 고려해야 함. 이 시장지배력은 독점적인 기술력, 규모의 경제, 상품 차별화 또는 분배 네트워크의 지배 등으로 인해 발생함
- 이러한 이유로 각 기업이나 국가는 전략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함. 따라서 소국에서도 자유무역이 최선은 아님
-
독점적 경쟁시장과 무역
-
산업내 무역이론
동일한 상품의 무역과 독점적 경쟁시장에서의 무역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짐
-
- 세계화, 경제통합
- FTA: NAFTA, Customs Unions: EU, Regionalism vs. Mulilateralism
- 세계화에 대한 찬반
- 남북 문제
- 세계 소득 불평등
- 국제간 생산요소 이동
- 이민
- 다국적 기업
- 아웃소싱
- 기술변화, 성장, 무역
- 성장과 무역: 교역조건과 후생. 성장을 저해하는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
- 인적자본
- 기술격차
- 기술전수
- 국제금융론
- 외환시장
- 국제수지(경상수지, 자본수지)
- 자국화폐의 절상 및 절하
- 시장개방과 재정정책 및 통화정책
- 국제 통화 시스템
Written on May 10, 2022